2022 청년희망적금Q&A : 소득기준 증가 퇴사 중복상품 직종 규모
청년희망적금에 관해 많이 헷갈려 하시는 부분을 금융위원회에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밑에 내용을 보시고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소득이 없는 청년도 가입 가능한가요?
▶ 국세청을 통해서 소득금액 증명이 가능한 경우에만 가입가능합니다. 소득이 없거나 소득이 있더라도 국세청에 소득금액이 잡히지 않으면 불가능합니다. '국세청을 통한 소득금액 증명'상의 소득 종류·수준에 따라 가입가능 여부가 달라지므로, 각 개인별 가입 가능 여부를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기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년년도(2021) 소득이 확정되기 전에 전전년도(2020) 소득은 개인소득 요건을 충족해서 가입했는데, 이후 직전년도 소득이 개인소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경우 어떻게 되나요?
▶ 가입은 유지되고 만기까지 납입 시 저축장려금도 지급됩니다. 하지만 조세특례베한법에 따라 이자소득 비과세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가입 이후에 소득이 증가하면 가입이 취소되나요?
▶ 가입 이후의 소득 증가는 가입자격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2021년 소득은 있지마, 2022년도에 소득이 없어도 가입가능 한가요? 납입 중에 직장을 그만둔 경우에는 가입이 취소되나요?
▶ 현재 소득이 없는 상태라도 직전년도(2021) 과세기간 소득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가입이 가능합니다. 일단 가입 후 납입 중이라면 중도에 소득이 없어진 경우에도 가입이 취소되지 않고 만기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직종이나 근무 회사의 규모 등에 따른 가입 제한이 있나요.
▶ 직종이나 근무 회사의 규모 등에 따른 별도의 가입 제한은 없습니다.
타부처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청년 대상 지원 상품에 가입 중인 경우에는 가입할 수 없나요?
▶ 타부처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청년 대상 상품에 가입 중이거나 지원을 받은 적이 있어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
2020년도 소득은 없지만 2021년도 부터 소득이 발생해서 가입대상인거 같은데 가입대상이 아니라고 나옵니다.
▶ 직년년도(2021) 과세기간의 소득은 2022년 7월경에 확정되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를 통한 개인소득요건 충족 여부 확인은 2022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2021년부터 소득이 발생한 가입희망자는 2021년도 소득이 확정된 이후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2022 청년희망적금 알아보기 : 혜택 신청 방법 자격 조건 금리비교
청년희망적금이란? 청년의 안정적인 자산관리 지원을 위한 저축장려금을 추가 지원하고 이자 소득에 비과세를 지원하는 '쳥년희망적금'이 21일이 출시되었습니다. 만기 2년까지 납입하는 경우
rounmam.com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수당 변경 만 8세 확대 : 지급대상 지급일정 신청방법 (0) | 2022.02.13 |
---|---|
2022 자녀장려금 : 신청 혜택 조건 요건 지급일 정리 (0) | 2022.02.10 |
2022 청년희망적금 알아보기 : 혜택 신청 방법 자격 조건 금리비교 (0) | 2022.02.08 |
2022 근로장려금 알아보기 개정, 신청, 자격, 기간(정기/반기) (0) | 2022.02.07 |
2022 피부양자 조건 변경 알아보기! (0) | 202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