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18년만에 협의된 국민연금! 변경되는 내용, 인상율, 수령액 확인하기

728x90
반응형

 

2025년, 드디어 여야가 18년 만에 국민연금 개혁안에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논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개혁안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고, 실제 우리가 얼마나 더 내고 얼마나 더 받게 될지를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1. 보험료 인상과 소득대체율 조정

이번 개혁안에서 가장 큰 변화는 바로 보험료율소득대체율입니다.

  • 보험료율: 현행 9% → 2031년까지 매년 0.5%씩 인상, 최종 13%
  • 소득대체율: 현행 41.5% → 2028년까지 40%로 하락 고정

즉, 더 많이 내고, 받는 금액은 현재 수준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평균 소득자 기준 월 납입액 증가: 약 12만 3천 원  /연간 납입액 증가: 약 147만 6천 원

복지부는 국민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대별로 보험료 인상 속도를 차등 적용하고, 장기적으로 수익률 제고를 통해 기금 시점을 연장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함께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2. 미래 세대의 부담과 연금 수령액

  • 40년 가입 시 월 수령 예상액: 132만 원
  • 최소 노후생활비: 136만 원 (충분하지 않음)
  • 새로운 세대(2026년 가입자)는 1억 3,300만 원을 납부하고, 3억 1,400만 원 수령 가능 (차익은 있지만, 납입액도 대폭 증가)
정부는 이러한 부담을 완화하고 제도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지급보장 영문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국민연금법에 명확한 지급 근거를 삽입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 중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3. 연금 고갈 시점 변화

개혁 전: 2047년 → 2056년

이번 개혁 후: 최종 고갈 예상 연도 2071년으로 15년 연장

  • 기금 수익률 제고와 연금운용 인력 성과보상 상향(150%) 등의 병행 노력 포함
  • 기금 수익률은 현재 5.92%로 이를, 5.5% 이상으로 높이기 위한 자산배분 전략과 전문인력 확충이 이루어짐
 

4. 군복무 및 출산 크레딧 조정

  • 군복무 크레딧: 6개월 → 12개월 인정으로 확대
  • 출산 크레딧 : 기존 둘째아부터 인정 → 첫째아부터 가입 기간 인정 추진
  • 출산율 감소에 따른 연금 재정 부담 가중
    • 초등학생 수 6년 내 30% 감소 예상
    • 장기적 국민연금 유지 부담 증가
 

5. 논란과 남은 과제

  • 수령률 50% 이상 필요성 제기 → 실제 납부율 낮음으로 현실적 어려움
  • 경제 변수에 따른 유연 조정안은 무산됨
  • 국민연금, 기초연금, 퇴직연금 등 3층 연금 통합 논의 필요

 

이번 개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근본적인 재정 안정성에 대한 우려는 남아 있습니다. 특히, 청년층은 납부 기간은 길어지지만 수령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불신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적 연금으로 눈을 돌리는 경향도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국민의 신뢰 회복과 세대 간 형평성 확보를 위한 추가 논의와 설계 보완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또한 자영업자나 특수고용직 등 사각지대에 놓인 가입자에 대한 보호와 포괄적인 연금 복지 체계 개선도 함께 논의되어야 합니다.

정부는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활성화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은 사업장 규모에 따라 의무화 범위를 넓히고, 디폴트옵션 및 수익률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이 진행 중입니다. 개인연금은 세제 혜택 확대와 함께 교육·홍보를 강화하여 국민들의 연금 수령 기반을 더욱 촘촘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