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연금 알아보기 : 신청 방법 수령액 장·단점
주택연금제도란?
집을 소유하고 있어도 소득이 부족한 어르신들이 평생 또는 일정기간 동안 안정적인 수입을 얻게 해 드리기 위해 집을 담보로 하여 자기 집에 살면서 매달 국가가 보증하는 연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가입요건
- 부부 중 1명이 만 55세 이상
- 부부 중 1명이 대한민국 국민
- 부부기준 공시가격 등이 9억 원 이하 주택소유자
- 다주택자라도 합산가격이 공시가격 등이 9억 원 이하
- 공시가격 등이 9억 원 초과 2 주택자는 3년 이내 1 주택을 처분해야 가능
주택연금 장점
①평생거주, 평생 지급
평생 동안 가입자 및 배우자 모두에게 거주를 보장하며 부부 중 한 분이 돌아가신 경우에도 연금 감액 없이 동일 금액으로 지급합니다.
②국가보증
국가가 연금 지급을 보증하여 연금지급 중단 위험이 없습니다.
③합리적인 상속
사망 후 주택을 처분하여 정산하면 되고 연금수령액 등이 집값을 초과하여도 상속인에게 청구되지 않으며 반대로 집값이 남으면 상속인에게 돌아갑니다.
④세제혜택
주택연금 단점
① 비싼 가입비
현재 주택연금 가입비는 공시시가의 1.5%로 집값이 7억 원 이상이라면 가입비만 1,000만 원 넘게 납입해야 합니다.
② 물가 상승률 미반영
자산의 가치는 꾸준히 상승하는데 주택연금은 물가 상승률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을 때 많은 분들이 해지했다고 합니다.
③ 해지 시 전액 상환
해지시 받았던 연금뿐만 아니라 이자까지 상환해야 합니다. 또한 주택 가격의 1.5%에 해당되는 보증료도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재가입을 할 때 또한 보증료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신중히 가입하셔야 합니다.
주택연금 지급 방식
①종신 방식
연금을 종신형으로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②확정기간 방식
가입자가 선택한 기간 동안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③대출상환방식
주담대로 일부는 일시 지급, 일부는 종신형으로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④우대 방식
기초수급자가 일부 기준 충족 시 20% 우대하여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정확한 수령액은 '한국 주택금융공사 → 주택연금 → 예상수령액 조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헷갈리는 주택연금 Q&A : 변화되는 주택연금제도
헷갈리는 주택연금 Q&A : 변화되는 주택연금제도 Q.. 주택에 거주가 어려울 거 같은데 연금가입 가능한가요? A. 해당하는 사유가 있으면 가능합니다. 1. 질병치료·심신 요양 등을 위한 입원 2.
rounmam.com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세 전자수입인지 재출력 방법 : 오류 분실 훼손 착오 인쇄 등 (0) | 2022.02.17 |
---|---|
헷갈리는 주택연금 Q&A : 변화되는 주택연금제도 (0) | 2022.02.15 |
아동수당 변경 만 8세 확대 : 지급대상 지급일정 신청방법 (0) | 2022.02.13 |
2022 자녀장려금 : 신청 혜택 조건 요건 지급일 정리 (0) | 2022.02.10 |
2022 청년희망적금Q&A : 소득기준 증가 퇴사 중복상품 직종 규모 (0) | 2022.02.08 |